MySQL 용량 확인 DB를 사용하다 보면 DB 또는 table별 용량 확인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information_schema 이용한다. 1. DB 용량확인 -> zabbix db 용량 확인 SELECT table_schema "Database Name", SUM(data_length + index_length) / 1024 / 1024 "Size(MB)" FROM information_schema.TABLES GROUP BY table_schema; 2.table 용량확인 -> zabbix의 history_unit 테이블 용량 확인 먼저 zabbix db를 선택하고 show tables;로 확인 한다. 이후 아래 쿼리문으로 history_unit 테이블의 사이즈를 확인 한다. SELECT co..
Mysql 기초 쿼리문 ※ 기본으로 mysql 및 mysql client는 설치 되어 있어야 됩니다. 1. mysql -u DBUSER -p -> mysql db 접속 [root@fendys-zabbix01 ~]# mysql -u zabbix -p Enter password: ********* mysql> 2. show databases; -> 데이터 배이스 목록 확인 3. create database DBNAME; ->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(생성 권한이 있어야 일반 DB 유저는 가능하다.) root로 접근 해서 test01 db 생성 -> 아래 이미지에서 test01 db를 확인 할 수 있다.(이후 root 사용) 4. use DBNAME; -> DB 사용 선택 & show tables -> DB에 테..
#mysql DB 백업 및 복원 mysqldump를 이용한 mysql DB백업 mysqldump [옵션] -u root -p [DB이름] > [백업파일명].sql mysqldump -A -u zabbix -p > /root/zabbix_backup_2017_0720.sql 명령으로 /root 폴더에 zabbix_backup_2017_0720.sql라는 이름으려 backup 파일이 생성 되게 한다. 옵션설명 -A, --all-databases : 모든 DB를 덤프 --add-locks : 덤프 전에 lock 덤프 후에 unlock --add-drop-table : 덤프이후에 출력물의 앞에 drop table명령 추가 복구할 때 사용키 위해서 -B, --databases : 여러 DB를 동시에 덤프 할 때 ..
※ 스크립트 간단 설명 > /etc/sudoers echo -n "limit day (ex. 2017-04-14): " read limitday echo "sed -i -e "/^$target_id/d" /etc/sudoers" | at 23:59 $limitday echo "Done !" elif [ $CNT -gt 0 ];then echo "already use atd deamon !! " cp /etc/sudoers /etc/sudoers_$today echo -n "read target ID : " read target_id echo -e "$target_id ALL=(ALL)ALL" >> /etc/sudoers echo -n "limit day (ex. 2017-04-14): " read lim..
ntp 서버 및 클라이언트 설정 방법 ※ ntp 데몬을 이용한 서버 설정 1. yum install ntpd 명령을 이용해 ntpd데몬을 설치한다. 2. [root@fendys-ntp yum.repos.d]# vi /etc/ntp.conf 에서 설정 변경 # Hosts on local network are less restricted. #restrict 192.168.1.0 mask 255.255.255.0 nomodify notrap -> 주석제거 후 허용할 내부 네트워크망 선택 # 나의 서버 내부 네트워크망은 10.211.108.0/24 이다 restrict 10.211.108.0 mask 255.255.255.0 nomodify notrap # Use public servers from the po..
[CentOS] yum repository 설정 1. 서버의 특정 공간을 정해서 아래 해당 명령으로 sync 한다 /data/source/centos를 위치로 하겠다 이글에서는 6.9와 7.3버전만 sync했다. -> --delete --exclude "*.iso" 옵션으로 ISO파일 제외 용량 문제로 ^^;;; tip. 항상 최신버전을 동기화 하길 원한다면 상위 폴더기준으로 아래 rsync를 명령을 cron등록 해주면 된다. rsync -avz --delete --exclude "*.iso" rsync://ftp.neowiz.com/centos/7.3.1611/ /data/centos/7.3 rsync -avz --delete --exclude "*.iso" rsync://ftp.neowiz.com/c..
zabbix 3.0 server & client 설치 - CentOS 6 1 zabbix 유저생성 [root@fendys-zabbix-server ~]# groupadd -g 7000 zabbix [root@fendys-zabbix-server ~]# useradd -u 7000 -g 7000 zabbix 2. httpd 설치 [root@fendys-zabbix-server ~]# yum install httpd 3. php 설치 [root@fendys-zabbix-server ~]# rpm -Uvh https://mirror.webtatic.com/yum/el6/latest.rpm [root@fendys-zabbix-server ~]# yum -y install php55w php55w-mbstring..
※ SAN 볼륨 200G 할당 후 서버에서 멀티패스 설정 후 사용 1 yum install device-mapper-multipath 명령으로 pkg 설치 2. 서버 리부팅 혹은 아래 커맨드로 rescan 한다(host 번호 찾는 방법은 wwn 확인 하는 방법을 찾아보면된다) echo "- - -" >> /sys/class/scsi_host/host[fc host number]/scan 3. 서버 리부팅 후 또는 리스켄 후 추가한 볼륨을 fdisk -l 로 확인 기존 볼륨 (/sda/ sdb/ 위 이미지를 보면 /dev/sdc, /dev/sdd, /dev/sde, /dev/sdf, /dev/mapper/mpathc 가 생성되었다 4. 아래 명령으로 disk wwid 확인 [root@TMA] /root>#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shell connmad log
- cmd로 계정 생성
- ipmi
- 특정 문구 치환
- ios ansible
- cgroup
- nutanix rac
- nxos ansible
- kernel 변경
- cisco ansible
- 특정 라인삭제
- chrony
- centos7 ntp
- oracle linux8 kernel
- ISCSI 볼륨 RAC
- dl20 g9 centos7 설치
- vm rac
- 리눅스 커맨드 로그남기기
- windows.old 강제삭제
- dl20 centos7
- CentOS 7 GUI
- ansible network
- dl20
- 윈도우서버 계정 관려
- ansible ios
- 윈도우 cmd 계정 관리
- ILO
- linux command log
- DL20 GEN9 장비에 CentOS 7
- cmd로 윈도우 계정 관리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