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linux

samba server 구축 (CentOS6)

fendys 2017. 6. 5. 13:39
반응형

리눅스 서버로 공용 서버를 만들어서 사용 하는 방법입니다.(samba 서버 구축)

1. 패키지 설치

Comment : yum install samba samba-client samba-common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samba 패키지를 설치 해줍니다.

 

2. 패키지 설치 확인

Comment : rpm –qa | grep samba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samba 패키지를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 해줍니다..

 

3. samba 폴더 생성 및 권한 설정

Comment : cd /home
Comment : mkdir /smbdemo
Comment : chmod 770 /smbdemo
Comment : cd /smbdemo
Comment : vi text.txt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home디렉토리 안에 공유폴더를 만들어 줍니다 권한까지 부여해줍니다. (vitest.txt 생성은 무시 해도됨)

 

4. 유저 생성

Comment : useradd smb
Comment : smbpasswd –a smb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먼저 samba에 쓸 유저를 먼저 만들고 그 유저의 암호까지 등록해줍니다.

 

5. samba 서버 호스트 등록(class C)

Comment : vi /etc/samba/smb.conf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workgroup에서 hosts allow 부분에  host서버 IP 대역 앞3자리만 추가해줍니다.

 

6. 공유 폴더 설정

Comment : vi /etc/samba/smb.conf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가장 아래쪽에서 [smbdemo]의 공유폴더생성을 위한 설정값을 입력해줍니다.

 

7. samba 데몬  실행

Comment : /etc/init.d/smb start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samba 데몬을 실행해줍니다.

 

8. 서비스 이용 - 윈도우에서 탐색기로 검색

Comment : \\server ip
위의 comment를 입력하여 먼저 samba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.

반응형